12.13 |
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심포지엄 |
한국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우수 운영사례 및 성과 공유, 최신 연구동향에 따른 인체자원은행 운영전략 등 |
결핵검체은행장, 결핵검체은행 담당자 |
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, 한국인체자원은행협의회 |
10.25 |
제3회 바이오뱅크 포럼 보건의료기술의 산업화를 위한 바이오뱅크의 역할 |
바이오의학 산업계 수요 및 성과창출 성공사례,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의 향후 과제 |
결핵검체은행장, 결핵검체은행 담당자 |
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|
10.19~10. 20 |
한국 생물안전 컨퍼런스 |
자율적 생물안전관리를 위한 생물안전위원회의 역할, 생물안전3등급 연구시설 설치/운영 및 안전관리, 인체병원체의 생물안전관리 |
임상시험 코디네이터 심화교육 대상자 |
질병관리본부, 농림축산검역본부, 국립수산과학원, 한국생물안전협회 |
09.19 |
결핵검사 및 최신 동향 |
보건소 감염병 검사요원과정 교육 강의 |
시 · 도 보건소(보건의료원) 감염병 검사요원 |
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/ 강사: 박상희 보건연구관 |
07.04~06, 09.12~14 |
생물안전3등급(BL3)연구시설관리자과정 |
BL3 연구시설 현장 실습, 공조시스템과 자동제어, 생물안전장비의 이해 및 비상대응체계, 기관생물안전위원회(IBC)운영 |
생물안전책임자, 생물안전관리자 등 |
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|
08.30 |
비임상시험 국제 가이드라인의 최신 동향 |
의약품 대사체의 안전성 시험, 천연물 의약품의 유전독성 평가 등 |
|
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|
07.11 |
합성의약품 개발 시 비임상-임상 연계 |
합성의약품의 생리학적 약동학모델을 통한 임상 예측, 합성의약품의 임상시험계획승인 절차 및 방법 등 |
|
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|
07.11~12 |
임상시험 코디네이터(CRC) 심화교육 체외진단용의료기기 기본과정 |
체외진단용 의료기기 국내 인허가 제도,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의 품질 및 위험관리 등 |
|
(사)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|
06.09, 06.16, 06.19 |
임상시험 코디네이터(CRC) 심화교육 |
임상시험관련 국내.외 법규 및 최신 이슈, 임상시험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, 임상시험 종료 후의 자료 관리 및 통계분석등 |
임상시험 코디네이터 심화교육 대상자 |
(사)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 |
05.19 |
IRB 지역교육 |
인간대상연구의 심의 쟁점과 실제사례,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 인증 등 |
|
보건복지부, (사)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 |
05.16 |
비임상-임상 연계 교육 천연물의약품 개발시 비임상-임상 연계 |
천연물의약품의 독성시험, 천연물의약품의 약물동태시험, 천연물의약품의 비임상-임상 연계 사례 등 |
|
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|
05.11 |
임상시험 종사자 심화교육 |
인체유래물 연구시 주의사항, 임상시험 점검 및 실태 조사의 주요 지적사항 등 |
임상시험 등 심사위원회 위원(의사, 그밖의 위원) |
(사)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 |
04.25 |
비임상시험 전문성 강화 교육 비임상시험관리기준의 이해와 적용 |
비임상시험관리기준(GLP)의 제도 및 운영 의료기기의 GLP 적용 등 |
|
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|
03.08~09 |
의료기기 입문 마스터 과정 교육 |
- 의료기기 규정 개요, 의료기기 업허가
- 의료기기 기술문서 및 제품 허가 문서 작성, 시험검사
- ISO 13485 및 GMP 개요, 본문
- 의료기기 사후관리
- 신의료 기술 및 보험 등재 개요, 시험 평가
|
|
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|
02.08 |
제2회 바이오뱅크 포럼 한국바이오뱅크의 도전과 과제 |
- 차세대 바이오뱅크 구축을 위한 인체자원 표준화
- 차세대 바이오뱅크 구축을 위한 법과 제도
|
|
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|